본문 바로가기
돌고도는 경제이야기

코스피 거래 '먹통' 사태! 대한민국 주식시장의 신뢰도가 흔들린다

by 열정 김주부 2025. 3. 24.
반응형

출처:부산일보

 

1. 사건 개요

2025년 3월 18일 오전 11시 37분부터 약 7분간 한국거래소의 전산장애로 인해 코스피 시장의 모든 종목의 거래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2005년 한국거래소 통합 출범 이후 정규 거래 시간 중 전 종목 거래가 중단된 첫 사례로, 투자자들의 큰 혼란과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2. 전산장애 원인

이번 사태의 원인은 동양철관 종목의 거래 체결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해당 종목의 자전거래방지 조건(SMP) 호가와 중간가 호가가 동시에 제출되면서 매매 체결이 지연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 코스피 시장의 거래가 중단되는 사태로 이어졌습니다. 


3. 투자자 반응

거래 중단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큰 혼란과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증권사 거래방과 종목 토론방, 커뮤니티 등에서는 "주식에 투자하면서 거래소가 먹통인 건 처음 봐요", "이 정도면 한국장을 떠나야 하는 거 아닌가요" 등의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4. 금융당국의 대응

금융감독원은 이번 전산장애의 원인과 피해 규모 등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 대한 검사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금융사나 전자금융업자의 전자금융업무와 관련된 재무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5. 향후 대응 방안

5.1 전산시스템 안정성 강화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국거래소는 전산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특히,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의 거래종목이 확대됨에 따라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5.2 비상 대응 프로세스 구축

전산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비상 대응 프로세스를 구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전산장애 대응 프로세스 개선 TF를 구성하고, 정기적인 모의훈련을 실시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5.3 투자자 보호 대책 마련

전산장애로 인해 발생한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향후 유사한 사태 발생 시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6. 결론

이번 코스피 거래 '먹통' 사태는 한국 주식시장의 신뢰도를 크게 흔들었습니다. 한국거래소와 금융당국은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전산시스템의 안정성 강화, 비상 대응 프로세스 구축, 투자자 보호 대책 마련 등 종합적인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한국 주식시장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