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고도는 경제이야기

1억 벌고도 세금폭탄? 이제 IMA 종합투자계좌로 투자 판도가 바뀐다!

by 열정 김주부 2025. 4. 10.
반응형

출처:금융위원회

 

 

 

2026년 도입 예정인 IMA(종합투자계좌)가 투자자 세금 혜택과 자산 관리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꾼다. IMA의 핵심 개념, 세제 혜택, 운용방식과 향후 전망까지 한눈에 정리!

 

Ⅰ. IMA(종합투자계좌)란 무엇인가?

1. 등장 배경

정부는 2026년부터 새로운 자산관리 제도인 IMA(Individual Management Account), 즉 '종합투자계좌'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는 차원이 다른 개념으로, 본격적인 자본시장 활성화와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춘 자산운용 인프라 구축이 목적이다.

최근 투자수단 다변화, 고액 자산가들의 절세 전략 강화, MZ세대의 투자 참여 확대 등 변화된 금융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제도라 볼 수 있다.


Ⅱ. IMA 핵심 개념 및 구조

구분IMA(종합투자계좌) 주요 특징
가입대상 개인투자자 누구나
납입한도 없음 (무제한)
과세방식 연단위 손익 통산 후 순이익 과세
세율 금융투자소득세 기본 세율 적용 (20~25%)
운용방식 투자일임/신탁 등을 통한 통합 관리
자산관리 주식, 채권, 펀드, 대체투자 등 전 금융상품 통합 가능

Ⅲ. 기존 ISA와 IMA 차이점 비교

항목                                         ISA                                                                                       IMA

 

납입한도 연 2,000만원 한도 없음
비과세 혜택 일정한도 내 비과세 없음 (다만 손익 통산 및 과세 이연 효과)
투자자산 제한적 거의 모든 금융자산
운용방식 직접투자 중심 전문가 일임운용 가능
세금 부과 자산별 과세 계좌 내 통산 손익에 대한 일괄 과세

Ⅳ. IMA가 가져올 투자 및 자산관리 변화

1. 세금 최적화

  • 계좌 내 손익 통산 → 손실 발생 시 세금 부담 최소화
  • 여러 금융상품 투자 시 복잡한 과세 문제 해결
  • 자산가들에게 유리한 장기적 과세 이연 구조

2. 투자 효율성 증대

  • 주식뿐 아니라 채권, 대체투자, 글로벌 자산까지 통합 운용 가능
  • 전문가 일임 서비스 활성화
  •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 확대 예상

3. 고액 자산가 및 기관급 개인 투자자 수요 증가

  • 글로벌 패밀리오피스형 자산관리 시장 확대
  • 은행·증권사·자산운용사들의 IMA 특화 서비스 경쟁 본격화

Ⅴ. 향후 IMA 운용 전망 및 투자 전략

1. 운용사 및 증권사의 변화

  • 자산배분형 상품 개발 확대
  • 세금 관리 특화 일임 서비스 경쟁 심화
  • 고객별 포트폴리오 맞춤 서비스 강화

2. 투자자의 준비 전략

  • IMA 도입 전 기존 계좌 점검 및 포트폴리오 재구성 필요
  • 일임 운용사 선정 기준 정립 (성과·수수료·리스크 관리)
  • 장기투자 관점에서 자산배분 전략 수립 필수

Ⅵ. 결론 — 투자 패러다임의 전환, IMA를 준비하라!

IMA는 단순히 세금혜택이 좋은 계좌를 넘어 '종합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개인투자자부터 고액자산가까지 투자 접근 방식에 대전환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투자자는 앞으로 단기수익보다 '세금관리 + 자산배분 + 장기운용'을 핵심 키워드로 삼아야 하며, IMA를 활용한 새로운 자산관리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응형